처음 경영전략, 사업개발, 기업가치평가, 투자 관련 업무를 하면서 어려운 용어/개념이 많아서 에버노트에 정리해 놓고 자주 들여다 봤던 것들이다.
이러한 개념들이 도대체 어떻게 쓰이는지 초기에는 잘 이해가 되지 않았지만, Learning by doing 이라는 말처럼 결국 일하면서 자연스럽게 습득이 되고 있다.
앞으로도 계속 일하면서 업데이트가 될 것 같다. (To be continually updated)
ROE ( Return on Equity : 자기자본이익률 ) = 당기순이익 / 자본총계(순자산) ×100 (%)
*자본은 평균자본으로 계산(당기+전기 자본총계/2)
ROA ( Return On Assets : 총자산이익률 ) = 당기순이익 / 자산총계(부채+자본) ×100 (%)
*자산은 평균자산으로 계산(당기+전기자산총계/2)
ROIC ( Return on Invested Capital : 투하자본수익률 ) = NOPLAT(세후순영업이익) / 투하자본(IC) ×100 (%)
*영업활동을 위한 자산(투하자본)을 가지고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인 영업이익(NOPLAT 또는 영업이익으로 대체)
*투하자본(IC) = 재고자산+매출채권+기타유동자산-매입채무-기타유동부채+유형자산+무형자산+기타비유동자산
PER = 시가총액 / 당기순이익 = 주가 / EPS(주당순이익)
PBR = 시가총액 / 자기자본(순자산) = 주가 / BPS(주당순자산) = 주당이익 / 주당순자산(ROE) × 주가 / 주당이익(PER)
PSR = 시가총액 / 매출액 = 주가 / SPS(주당매출액)
EV/EBITDA = 시가총액 + 순차입금 / 영업이익 + 감가상각(+감모상각)
※EBITDA ( Earning Before Interest, Tax,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 ) ≒ EBIT(영업이익) + 감가상각 = EBIT + 비현금비용(감가상각 등) - 비현금수익(환산이익 등)
*기업이 (자기자본과 타인자본을 이용하여)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이는 현금 창출 능력
※EV( Enterprise Value ) = 시가총액 (주주지분) + 순차입금 (채권자 지분) = 시가총액 + 총차입금(이자지급성 장단기 차입금) - 현금 및 현금등가물, 유가증권 등
*기업을 매수할 때 지불해야 되는 가치
OP ( Operating Profit : 영업이익 ) = 매출액 - 매출원가 - 판매관리비
*OPM / *GPM(Gross Profit Margin; 매출총이익율) / *NPM(Net Profit Margin; 당기순이익율)
*EBIT ( Earnings Before Interests and Taxes ) ≒ 영업이익 = 당기순이익 + 이자비용 + 법인세
NI ( Net Income : 당기순이익 ) = 영업이익 - 영업외수익/비용(이자 등) - 법인세수익/비용
*영업외수익/비용 = 이자손익, 환차손익, 투자손익, 사회환원, 임대료 등
NOPLAT ( Net Operating Profit Less Adjusted Taxes : 세후순영업이익 ) : 영업이익에서 영업이익에 대한 법인세를 차감한 금액
= EBIT - 조정법인세 (*조정법인세 = 영업이익 기준 법인세 = EBIT * 실효법인세율 : 보통 25% 내외)
= 당기순이익 + 이자비용(세후)
= NOPAT(Net Operating Profit After Tax; 세후영업이익)
OCF ( Operating Cash Flow : 영업현금흐름 ) :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이나 유출
≒ NOPLAT + 감가상각
≒ EBITDA - 법인세
= EBIT*(1-법인세율) + 비현금비용 - 비현금수익
FCF ( Free Cash Flow : 잉여현금흐름) ≒ FCFF(Free Cash Flow to Firm)
= NOPLAT(EBIT - tax) + D/A - △NOWC - CAPEX
FCFE ( Free Cash Flow to Equity : 주주잉여현금흐름 )
= FCF - FCFC
FCFC ( Free Cash Flow to Creditors )
= 차입금 상환 - 차입금 차입 + 이자
[변동비(VC)/고정비(FC), 공헌이익]
*P = Price, Q = Quantity
(P - VC) x Q - FC = 영업이익
*(P - VC) x Q - FC = 0 이 되는 Q의 값이 손익분기점
*P - VC = 제품 단위 당 공헌이익 ( Contribution Margin )
*PxQ(매출액) - VCxQ(변동비) = 공헌이익
*영업이익 + 고정비 = 공헌이익
※매출액 대비 원재료비(변동비) 비중이 높으면 원재료비 하락이 큰 이익개선을 가져옴
※원재료비 비중이 낮으면 높은 공헌이익을 가지고 있으므로 판매량 증가가 큰 이익개선을 가져옴
※매출액 대비 고정비(인건비, 감가상각비) 비중이 높으면 생산량 증가가 큰 이익개선을 가져옴
---> 결국 P, Q가 높아지거나, VC와 FC가 작아져야 함
---> 제조업을 분석할 때는 판매가격, 판매수량, 변동비, 고정비 정보를 분석해야 함
*판매가격은 '사업의 내용 > 가격변동추이'에서 확인 (품목별 매출/판매량)
*판매수량은 P x Q = 매출이므로 각 사업별 매출 / 판매가격으로 나눠서 추정 (각 사업별 매출은 '사업의 내용 > 사업부문별 매출현황'에서 확인
*변동비/고정비는 '연결재무제표주석 > 비용의 성격별 분류'에서 확인
'직장 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직장인 글쓰기] 장애인, 직업, 인종, 국적, 연령 차별적 표현 조심하기 (0) | 2021.02.13 |
---|---|
[직장인 글쓰기] 성차별적 표현 조심하기 (0) | 2021.02.12 |
[기업구조] 지배회사/종속회사, 관계회사, 투자회사, 모회사/자회사/손자회사, 지주회사, 계열사 (0) | 2020.03.04 |
[회계/재무] 선급금/선수금, 선급비용/선수수익, 미지급금/미수금, 미지급비용/미수수익 (0) | 2020.03.04 |
[회계/재무] 매출원가, 제조원가, 매출총이익 (0) | 2020.03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