매출원가, 제조원가와 매출총이익 구하는 것 정리!
<이것이 실전 회계다>를 참고해 정리했다
o 기본 지식
- 매출액 - 매출원가 = 매출총이익
o 매출원가와 제조원가 차이
- 매출원가는 만든 제품을 '팔았을 때' 인식하는 원가
- 제조원가는 만든 제품을 '아직 팔지 않은' 재고자산에서 인식하는 원가
예) 제빵왕 박사장이....
- 3월 10일 빵 3개를 만들었고, 2개를 팔았다. 제조원가는 빵 1개당 1천 원이고, 판매 가격은 1,500원이다. (빵 1개는 재고)
- 3월 11일 빵 4개를 만들었고, 전날 재고를 포함해 3개를 팔았다. 이날 제조원가는 빵 1개당 1,100원이고, 판매 가격은 1,500원이다.
3월 10일의 경우,
제조원가는 3천원(빵 3개 x 1,000원), 매출원가는 2천 원('판매된' 빵 2개 x 1,000원)이 된다.
*3월 10일 재고자산은 3천원에서 빵 2개를 팔고 나면, 재고자산은 1천 원이 된다(제조원가가 재고자산 가격이 됨)
3월 11일의 경우,
제조원가는 4,400원(빵 4개 x 1,100원)이지만, 매출원가는 3,200원이 된다.
전날 재고였던, 오늘 판매한 빵 1개의 제조원가 1천원 + 오늘 제조해서 판매한 빵 2개의 제조원가 2,200원이다.
3월 11일의 매출과 매출총이익은,
매출은 4,500원 (빵 3개 x 1,500원), 매출총이익은 1,300원(매출 4,500원 - 매출원가 3,200원)이 된다.
위의 단순화된 사례로만 보면, 매출원가는 제품을 제조한 날짜의 제조원가를 기준으로 계산해 판매한 제품들의 제조원가를 다 더해주면 되지만 실제 기업들이 생산하는 제품의 재고자산은 종류와 양이 많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이 계산한다.
매출원가 = 기초재고 + 당기 총 제조원가 - 기말재고
위의 사례에 대입해보면 쉽다.
3월 11일 아침에 장사 시작할 때 안고 있던 빵 1개의 재고 가격(기초재고)에 그 날 빵 4개 만든 제조원가를 더하면 전체 제조원가(재고가격)가 나오게 된다.
여기에서 저녁에 남은 빵(기말재고)의 재고가격을 빼주면 당연히 그 날 '판매된' 빵 3개의 재고가격(=매출원가)이 계산된다.
실제 계산해 보면,
- 전날 만든 빵 1개의 재고가격, 즉 기초재고 1,000원
- 당일 만든 빵 4개의 제조원가 4,400원
- 당일 판매하지 못한 빵 2개의 재고 가격 2,200원
1,000원 + 4,400원 - 2,200원 = 3,200원이 된다.
(전날 만든 재고 빵 1개 판 것의 매출원가 1,000원 + 오늘 만들어 판 빵 2개의 매출원가 2,200원의 합과 같다)
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!
'직장 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직장인 글쓰기] 장애인, 직업, 인종, 국적, 연령 차별적 표현 조심하기 (0) | 2021.02.13 |
---|---|
[직장인 글쓰기] 성차별적 표현 조심하기 (0) | 2021.02.12 |
[기업구조] 지배회사/종속회사, 관계회사, 투자회사, 모회사/자회사/손자회사, 지주회사, 계열사 (0) | 2020.03.04 |
[회계/재무] 선급금/선수금, 선급비용/선수수익, 미지급금/미수금, 미지급비용/미수수익 (0) | 2020.03.04 |
[기업경영/경영전략] 경영분석/가치평가/투자 업무 등에 필요한 용어 정리 (0) | 2020.01.30 |